본문으로 바로가기

중부광장

더 큰 꿈을 키우는 힘, 중부대학교입니다

첨단 안전운행 자동차 안전위해 검사기준과 장비개발 필요
  • 작성자홍보과
  • 작성일시2021/10/27
  • 조회수1392



[칼럼] 첨단 안전운행 자동차 안전위해 검사기준과 장비개발 필요

[비즈월드] 국내 자동차 운행대수는 현재 2490만대를 넘어서고 있고, 2021년 들어 매월 4만5000여대씩 늘고 있다. 등록내용을 살펴보면 승용차는 매월 4만7000여대가 신규 등록되고 있다. 이 외에 승합과 화물차는 감소하고 특수차는 매월 1000여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신규 등록되는 승용차의 대부분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첨단안전 커넥티드 카(connectd car)이며, 동력원으로 구분하면 효율화를 극대화한 기존의 내연기관차롸 하이브리드(가솔린-배터리), 전기차, 수소차이다. 이러한 동향은 정부의 자동차 정책과도 일맥상통한다.

 정부는 올해 4월 발표를 통해 "자율주행 레벨 4+ 상용화 앞당긴다"와 6월 "2030년까지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한다" 등의 미래발전 방안을 신차개발 위주로 제시하고 있다.

 인간도 태어나면 언젠가는 죽는다. 자동차도 개발됨과 동시에 생산단계, 운행단계, 폐차단계의 생애주기(life cycle)를 갖는다. 개발 및 생산단계에서는 자동차의 제작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운행단계와 폐차단계에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운행단계와 폐차단계에서는 등록, 보험, 매매, 정비, 검사, 말소 등록, 해체, 재활용, 폐차 등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최근 관련 자료를 살펴보면 자동차 생애주기는 20년 전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된 15.6년으로 나타나고 있다. 폐차단계에 이르기까지 15년 이상 다양한 형태의 동력원, 가술, 차종 들리 상존하고 있는데 이러한 운행단계의 안전성 및 관리에 대해서 정부의 정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전기차, 자율차, 수소차가 미래의 모빌리티 수단임을 부정하지 않지만 정부의 자동차 정책은 대부분 개발과 생산단계의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현재 생산되고 있는 자동차가 15년 이상 운행됨을 고려한다면 운행단계의 안전성 확보와 관리에 대한 투자가 꼭 필요하다.

도로 상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나서야 대책을 세우는 후진적인 방법보다는 운행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래차와 첨단 안전장치의 안전성 검증, 정비ㆍ사고ㆍ튜닝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ㆍ관리할 수 있도록 예산과 인력을 지원해야 한다.

 최근 오토파일럿(첨단 안전) 기능이 탑재된 자동차에서 인식ㆍ판단ㆍ제어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되거나 부품의 기능 이상으로 사고가 계속 발생되고 있다.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보조하기 위해 장착한 첨단 안전장치에 대한 오작동 예방과 성능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기술 개발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이를 통해 첨단 안전장치의 검사장비 규격서ㆍ표준서 개발과 검사 정밀도 기준 마련, 첨단 안전 자동차 정기검사제도 도입을 토한 국민 안전 확보가 중요해진다. 또 국산화 장비 개발ㆍ보급으로 중소기업의 기술자립화와 수출전략 마련과 국제 자동차검사위원회(CITA)를 통한 국제 검사기술을 제시해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인간과 비유한다면 신생아가 태어나기까지는 많은 지원이 있지만 유아-청소년-청년-성인-노년 단계에서의 지원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러한 부분을 명확히 인식하고 운행 자동차에 대한 안전을 다시금 돌아봐야 할 것이다.

 * 하성용 중부대학교 자동차시스템공학과 교수(공학박사)는 한국자동차공학회(KSAE) 부회장, 한국자동차안전학회 스마트모빌리티분과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비즈월드=손진석 기자 / son76153@empas.com]

출처 :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