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교육과정

교과목해설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스마트팜진로설계
Smart Farm Career Design
스마트팜과학과의 성격, 세부 분야의 목표, 내용 및 진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도록 하며, 스마트팜 과학의 정의, 중요성, 주요 이론 및 응용에 걸친 기초적이면서 포괄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산업의 이해
Understanding of Smart Farm Industry
국내외 전반적인 스마트팜 산업 현황 및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얻을 뿐만 아니라, 미래 농업의 방향과 가능성에 대한 것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시설학
Smart Farm Facility Science
스마트팜 건축에 필요한 전반적 내용을 다루며, 쾌적한 실내환경 유지를 위한 공기조화의 원리와 장비 용량 선정을 위한 부하계산, 열원시스템·열분배시스템, 공기조화제어의 원리·종류·특성, 저에너지시스템 설계, 위생, 전기・통신・조명 설비 및 소방・방재설비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작물생리학
Crop Physiology
작물의 구조와 식물생리 기초, 광합성과 호흡작용, 물질대사, 종자생리, 생장생리, 개화생리, 환경스트레스 반응메커니즘 등 식물의 근본적인 생장ㆍ생리 시스템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육종
Smart Farm Breeding
육종의 기초가 되는 변이의 작성방법과 유용변이를 검정 선발하여 신품종을 만드는 전통적인 육종법과 식물유전공학에 의한 품종개량 방법을 비교 검토하고 노지 및 스마트팜에 적합한 식물육종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스마트팜 작물 재배학
Crop Cultivation in Smart Farm
스마트팜에서의 작물 재배와 생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빛, 인공광,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시비, 환기 등)을 파악하고, 최적의 작물 생육 조건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프로젝트 계획
Smart Farm Project Plan
스마트팜 관련 연구 분야에서 지도교수의 안내에 따라 산학관과 협력하여 프로젝트의 목표와 범위를 설정하고, 일정과 예산을 관리하는 기초적인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학습한다.
작물토양관계
Crop and Soil Relationships
스마트팜에서의 작물 재배와 생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빛, 인공광,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시비, 환기 등)에 대해 파악하고 이해하여 최적의 작물 생육 조건을 학습하고 수량과 이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재배환경을 조건 개발하고 방향을 제시한다. 식물의 생육 터전이 되는 토양을 종합적으로 학습하고 토양의 생성과정에 있어서 토양 자체 내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광물적인 변화 또는 자연물로서의 토양의 지리적 분포와 분류 등을 이론과 실제를 통하여 학습한다.
스마트팜 빅데이터 분석
Big Data Analysis
스마트팜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식물 생육, 환경, 제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응용하여 작물의 생장 정밀 제어에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농업 미생물학
Agricultural Microbiology
생태계의 물질순환 시스템을 활용한 고도의 농업기술 관련하여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환경요인​, 생활주변의 미생물, 인체에 사는 미생물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농작물과 미생물​의 관계, 기능성 농업 미생물을 학습한다.
생육환경관리
Management of Growing environment
스마트팜 운영에 이용되는 화석연료, 자연에너지, 태양광, 열병합발전, 수소연료전지 발전 등에 대하여 학습하고, 최적의 생육환경에 맞춰 효율적인 에너지 제어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스마트팜 운영관리
Management of Smart Farm
스마트팜에 필요한 환경측정 센서(온도, 습도, 광, 환기, 관개 등)의 동작 원리,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등의 스마트팜 종합 패키지 제작 실무과정의 이론과 개발 능력을 배양한다.
수직형스마트팜
Vertical Smart Farm
작물 재배용 스마트팜 시설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개념, 원리, 그리고 중요도에 대해 학습한다. 식물공장(수직농장)에서 주요 작물에 대한 육묘, 재배기술, ICT 장비 설치 등 작물재배 기술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환경 조성학
Vegetation management in Smart Farm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잡초를 관리함으로써 노지 및 스마트팜의 작물생산의 효율성과 수량을 높이기 위하여 잡초의 생리 및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잡초 관리방법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로봇
Smart Farm Robot
스마트팜 로봇을 활용하여 농업 분야에서의 자동화 및 효율화를 담당하는 교과목으로 스마트팜 로봇의 개요, 로봇 제어 및 자동화, 농업 작업에 대한 로봇 응용, 로봇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스마트팜 로봇의 최신 동향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스마트팜 유통 마케팅
Distribution & Marketing for Smart Farm
수확후 상품화를 위한 선별/포장/물류 관리, 품질인증,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및 전략, 수출방안에 대해 학습하며, 차별화를 위한 시장조사 및 상품화, 홍보·마케팅, 농식품 소비·유통 트렌드 및 선진사례에 대하여 학습한다.
식물조직배양 및 실험
Plant Tissue Culture & Experiment
식물생물학에 대한 실무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식물의 세포 및 조직 수준에서의 생물학적 이해를 높이는 식물세포 및 조직 배양 이론, 배지 제조 및 배양 조건, 조직 배양 실험 설계, 세포 및 조직 관찰 기술, 실험 데이터 분석 및 해석: 등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프로젝트 수행
Smart Farm Project Performing
스마트팜 프로젝트 수행 계획을 기반으로 스마트팜의 운영기술을 활용하여 산학관 협력을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학습을 한다.
스마트팜 병해충 방제학
Pest Control Science in Smart Farm
고품질의 작물생산에서 농약사용은 많은 이점이 있으나 과량의 농약사용에 의한 병해충의 방제는 농업생태계의 파괴, 저항성 병원균, 해충의 유발 및 인축에 대한 잔류독성 등 많은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병해충방제학은 기본적인 경종적 방제법, 농약, 병충해등을 학습하고 동시에 스마트팜에 적합한 병해충 방제기술을 습득한다.
도농복합스마트팜
Urban-Rural complex Smart Farm
도시와 농촌이 경제·사회·환경적 측면에서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기반으로 농업 생산과 도시 생활을 융합하여 도시에 스마트팜을 구축하여 도시 주변에서 생산된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하고, 도시 주변 지역의 농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친환경식용식물학
Eco-friendly Food Crop Science
식용식물에 해당되는 식물의 기원, 식물적 특성, 성분 및 이용 생리, 생태 및 스마트팜에서의 친환경적 재배 이용에 관한 사항을 학습하고 토론을 통해 식용식물에 대한 깊은 이해와 재배방법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양분 관리학
Smart Farm Organic Nutrient Management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서 정한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위한 허용 자재의 종류를 이해하고 스마트팜에서의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대한 토양개량, 작물생육, 병해충관리용 자재별 원료의 특성과 제조 및 이용 방법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인공지능
Smart Farm AI
AI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파이썬을 이용한 학습규칙에 대해 학습한다.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습득하고 한국 스마트팜 농업의 사회문제 및 생산량 예측 등과 같은 주제를 통해 AI 모델 개발 능력을 습득한다.
스마트팜 경영분석
Business Analysis for Smart Farm
스마트팜 경영의 성과인 재무제표를 통한 경영분석 능력을 습득하기 위하여 스마트팜 투자비용과 손익계산서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스마트팜 경영의 결과를 분석하여 경영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자원순환 환경학
Smart Farm Resource Recycling and Environment Science
유기농업은 생산자인 식물과 소비자인 가축, 분해자인 미생물의 순환고리에 의하여 물질순환이 이루어지는 농업이다. 본 교과목은 노지재배와 스마트팜을 이용한 재배에서의 물질순환의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가 순환하는 유기농업 기술을 비교하여 학습한다.
스마트팜 농산물 품질관리론
Smart Farm Crop Quality Control
스마트팜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품질관리 기법에 대한 이해와 식품의 안전관리 체계 및 품질 관리시스템의 이해를 통하여, 스마트팜에서 재배되는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의 품질관리 능력을 향상하고 위생관리시스템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산업체실습
Smart Farm Industry Practice
재배작물별로 스마트팜 농장에 체재하며 재배기술, 운영기술을 습득하여 스마트팜 운영/재배 전문가로써 필요한 재배기술을 현장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또는 스마트팜 ICT 장비, 관수, 냉난방공조, 에너지관리 기업 등 산업체에서 장비/시스템 개발 관련 실무를 현장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스마트팜 캡스톤디자인
Smart Farm Capstone Design Project Presentation
전공과목에서 배운 지식들을 종합하여 스마트팜 프로젝트 계획 교과 - 스마트팜 프로젝트 수행 교과에 이어 최종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여 발표하고, 산학관 전문가, 동료들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전문성을 함양하는 교과목이다.
스마트팜 종합 실습
Comprehensive Practice of Smart Farm
스마트팜학과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마트팜 또는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노지재배와 양액재배를 통해 작물을 재배하여 종합적인 스마트팜 전문가로서의 종합적인 운영 능력을 배양한다.
사물인터넷
IoT
스마트팜의 설비와 장비에 연결할 수 있는 센서, 오픈 소스 IoT 플랫폼 등을 포함한 사물 인터넷(IoT) 기술의 기초와 개념에 대해 학습한다.
식물공장론
Vertical Farming
식물공장에서 생산되는 작물의 특성 및 고부가가치 작물생산의 환경조절에 대해 학습한다.
수경재배학
Hydroponic Culture
식물의 특성이나 생육단계별, 기내 환경요인 등에 따른 적절한 영양분에 대해 학습한다. 특히, 식물공장이나 시설재배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경재배에 대해 학습한다.
ICT스마트정보시스템
ICT Smart Information System
정보통신기술(ICT)의 종류와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응용하여 원격, 자동으로 스마트팜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습득한다.
나노공학과센서
Nanotechnology & Sensor
나노 공학을 바탕으로 콜로이드 시스템과 유화제에 관한 중요 개념, 공정 및 응용 내용을 학습한다. 또한 표면 개질과 표면 구조화, 그리고 나노 소재를 기반으로 바이오센서 소자 개발 및 응용 분야를 학습한다.
농업기상학
Agricultural Meteorology
농작물의 재배와 기상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농업기상학은 세부적으로 생물기상학, 국지기상학, 농업기후학 및 미기상학으로 구분되며, 기상조건에 적합한 농업의 작부체계를 밝히고 해당 환경에 적합한 작물을 제시하는 것을 학습한다.
스마트팜 컨설팅
Smart Farm Consulting
스마트팜 산업에서 필요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스마트팜 기업이나 농업 생산자에게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데 중점을 둔 교과목으로 스마트팜 개요 및 동향, 농업과 정보기술의 융합, 스마트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지원, 스마트팜 비즈니스 모델, 컨설팅 실무 프로젝트 등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