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완동물자원학
애완동물자원학
교과목 | 교과목 개요 |
---|---|
일반생물학 (Introduction of Biology) | 생명을 가진 물체의 생명현상을 과학적으로 추구하여 인간생활을 보다 풍요롭고 행복하게 하는 학문으로, 생물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시키고 생명과학의 체계적인 기본원리를 습득케한다. |
일반화학및실험 (General chemistry & Lab) | 여러 가지 물질과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선수 지식으로서 기초 화학 및 유기화학에 대하여 학습하여, 생명 현상의 화학적 이해를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본 강의의 목표로 한다. |
애완동물자원학개론 (Introduction to Companion Animal Science) | 인간과 애완동물의 역사성 및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 즉 인간생활에서 애완동물과 같이 생활하면서 얻어지는 유익한 점 등에 대해 중점을 두어 애완동물의 종류와 특성, 사양관리 및 질병예방 등을 개괄적으로 강의한다. |
동물보건학개론 (Introduct of Animal Health) | 동물보건학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와 역량 증진을 위해 전공 교수 전원의 팀 티칭으로 진행된다. 동물의 건강과 질병에 대해 이해하고, 특히 반려동물과 가축의 건강 및 질병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
동물유전육종학 (Genomics and Breedings of Animal) | 축산기사시험에 필수과목으로 동물의 생산성과 생산효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유전과의 관련성을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선발과 교배에 대한 원리와 이론을 통하여 축산물의 양적, 질적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체계적으로 파악한다. |
동물해부생리학및실습 (Animal Anatimy and Physiology) | 동물을 이용하는 각종 연구에 필수적인 해부 및 생리학 지식을 애완동물자원학분야에 가장 적합하게 정리하여 강의한다. 또한 애완동물자원학의 각종 지식습득에 필요한 해부학용어 학습을 실시함으로써 교육효과를 극대화한다. |
도그쇼그루밍및기초실습 (Basic Grooming Practice) | 도그쇼 참가에 필요한 기초적인 그루밍 기법을 실습을 통해 숙달한다. |
특수동물사양실습 (Exotic AnimalManagement and Practice) | 특수동물 및 외래동물의 건강을 관리하고 기초 사육 및 사양 기법을 응용하여 실습한다. |
동물용의약품약전해설 (Standard of Veterinary Pharmaceuticals) | 동물용의약품의 품질관리체계를 이해하고 통칙, 제제총칙, 의약품각조, 일반시험법, 항생물질에 대하여 학습한다. |
애견표준학 (Standard of Dog Breeds) | 애완견 각 견종의성 격, 특징 및 표준체형 등을 학습하여 품종 간의 특징을 구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강의한다. |
핸들러이론및실습 (Handling Theory and Practice) | 개의 행동심리를 이용한 과학적 훈련방법으로 핸들러에 관한 이론과 실기를 통하여 전문핸들러로서의 기본소양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
KV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for Veterinary Pharmaceutical Products) | GMP 개념과 품질이 보증된 우수한 동물용의약품을 제조공급하기 위하여 제조소의 구조설비를 비롯, 원자재의 구매부터 제조, 포장 등 모든 공정관리와 출하에 이르는제조 및 품질관리 전반에 걸쳐 지켜야 할 사항을 규정한 기준을 이해하고, 관련업계에서 필요한 현장실무자를 양성한다. |
동물번식생리학 (Reproductive physiology of Animal) | 축산기사시험의 필수과목으로 동물번식의 효율을 증진과 생리에 필요한 이론과 응용방법을 이해하고 각 축종별 번식기술과 생식기의 구조, 성호르몬, 발정과배란, 수정과착상, 임신과 분만 등의 각 번식과정이 영위되는 원리와 응용방법 등을 익힌다. |
동물병태생리학 (Animal Pathophysiology) | 오늘날 질병에 대한 이해와 치료를 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병태생리학이라는 융합과학적 학문을 통해 질병의 원인과 경과를 분석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각 계통별 주요 질병의 원인, 발생 메커니즘, 그리고 질병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이해와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교과목은 창의융합/전문지식/현장실무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동물 질병 발생의 원인, 병인론, 형태학적 변화, 그리고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동물보건학적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
기기분석학 (Instrumental Analysis) | 동물용의약품의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기초장비를 비롯하여 분광분석 및 크로마토그래피등의 분석원리를 이해하고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동물사양학 (Animal Feeding Management) | 축산기사시험의 필수과목으로 동물을 사양하는데 있어 영양과 사료와의 관계를 구명 및 성장단계에 따른 기초지식과 정보를 습득한다. |
양서파충류학(Herpetology) | 반려동물 및 애완동물로 사육되는 양서류와 파충류에 대한 연구와 이들의 효율적인 보호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생태계 건강성 확보와 자연환경 보전에 이바지한다. |
동물내과임상병리간호학및실습 (Veterinary Medicine and Clinical Pathology Assist Practice) | 수의내과임상분야와 검사실 관리, 혈액 검사, 요 검사, 분변 검사, 피부 검사, 진단 키트 검사 업무를 수행하고, 결과를 정리하여 수의사에게 보고함으로써 수의임상병리진단 업무를 보조할 수 있다. |
펫샵그루밍응용및실습 (Advanced Grooming Practice) | 펫샵 운영에 필요한 고급 그루밍 기법을 배우고 응용한다. |
동물아로마테라피 (Animal Aromatherapy) | 반려동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동물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반려동물산업에서 동물복지를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용을 익힐 수 있다. |
사료작물학 (Feed Crops Science) | 사료작물로 사용되고 있는 각 사료작물의 재배방법과 이용방법을 배우고 배합사료제조를 위한 배합비 산정, 동물의 종별 영양학적 요구량에 대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다. |
동물용의약품유효성평가 (Veterinary Medicne Efficacy Test) | 동물용의약품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연구, 실험 디자인 및 실험 실무에 대해 다양하게 직접 학습하고 실습한다. Flipped Learning 방식으로 진행한다. |
동물용의약품품질관리 (Quality Management of Veterinary Medical Pharmacy) | 로트별 동물용의약품에 대해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른 표준품, 시약관리, 안정성시험관리등의 품질관리 업무 전반에 걸친 이해를 통해 동물용의약품 품질관리자를 양성한다. |
동물외과영상진단간호학및실습 (Veterinary Surgery and Imaging Assist Practice) | 수의외과수술 분야와 영상 진단을 시행할 때 X-ray 촬영, 초음파 검사, CT 및 MRI 촬영을 보조하고 영상진단기기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
동물행동학및기초훈련실습 (Animal Behavior and Basic Training Practice) |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동물의 본능과 습성, 행동의 특성과 의미, 진화를 분석하는 동물행동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동물행동학을 바탕으로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기초훈련을 효과적으로 진행하는 방법을 배운다. |
축산물가공학및실습 (Animal Product Procesing and Practice) | 원유를 이용한 각종 유제품(시유, 크림, 버터, 분유, 발효유, 아이스크림 등)의 제조과정과 품질검사 뿐만 아니라 원료육을 이용한 육가공제품에 제조에 관한 기본 원리를 익히도록 하며 실무적 능력배양하기 위하여 실습을 실시한다. |
해양생물과아쿠아리스트 (Marine Life Resources and Aquarist) | 아쿠아리움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을 전시, 관리, 기획하는 아쿠아리스트 전문과정을 운영하는 교과목 |
동물용의약품품질보증 (Qualoty Assurance) | GMP 문서관리, 제조지시서 및 기록서 관리, 연간품질평가 등 동물용의약품 품질보증 전반에 걸핀 이해를 통해 동물용의약품 품질보증을 설명하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
승마치료및레포츠동물학 (Hippotherapy and Leisure Activity Zoology) | 승마는 말과 사람이 하나가 되어 하는 운동과 사람의 재활 치료를 목적으로 두 가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레포츠 동물 등을 이해하며 운동으로서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재활승마 등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실습을 한다. |
가축위생방역및축산경영학 (Livestock Health Control and Management) | 축산기사시험에 필수과목으로 축산경영에 대한 기초 지식 이해 및 경영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론과 실제 사례를 통해 배운다. 취업과 연계하여 HACCP과 각 축종별 농장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물의 질병에 대한 내용을 습득하고 이를 위해 현장을 방문하여 위생과 방역 과정 및 흐름을 파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