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과정 전공소개
특수교육학과
문학석사Master of Arts
교육목적
- 연구 기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를 양성하여 지역사회 교육 발전에 기여한다.
교육목표
1.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을 갖춘 특수교육 교육과정 전문가
2. 통합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통합교육 전문가
3. 학습장애와 행동장애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학습 및 행동장애 전문가
4. 장애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연구, 지원할 수 있는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
학과특성
- 한국 최고의 특수교육 연구와 전문인력 양성 대학원으로 성장하기 위한 특성화된 지원 체계 구축
- 교육과정, 통합교육, 평생교육 등 특성화 트랙(영역)을 구성하여 세부 영역별 전문가 양성 체계 구축 및 지역사회 유관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 대학원과 학부를 연계하여 발달장애 관련 학과 학부생의 취업율 제고
발전방안
- 특수교육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교육부 및 주요 연구기관과 협력 체제 구축
- 특수교육 지원 및 연구와 관련된 전국 네트워크 구축
- 대학원생과 학부생 간의 원활한 교류 협력 체제 구축
교수소개
성명 | 최종학위 | 전공 | 연구실 | 전화 |
---|---|---|---|---|
김기룡 | 교육학박사 | 특수교육학 | C7-728 | 031-8075-1730 |
나경은 | 철학박사 | 특수교육학 | C7-729 | 031-8075-1729 |
강은영 | 철학박사 | 특수교육학 | C7-709 | 031-8075-1721 |
고영환 | 철학박사 | 특수교육학 | C7-741 | 031-8075-1731 |
특수교육학과 석사과정 교육과정 편성표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강의시수/th> | 비고 | |
---|---|---|---|---|---|
이론 | 실기 | ||||
전공 | 연구방법 수립의 이론과 실제 | 3 | 3 | 0 | |
전공 | 양적연구와 통계 | 3 | 3 | 0 | |
전공 | 질적연구 | 3 | 3 | 0 | |
전공 | 단일대상연구 및 논문지도 | 3 | 3 | 0 | |
전공 | 특수교육행정 | 3 | 3 | 0 | |
전공 | 특수교육정책론 | 3 | 3 | 0 | |
전공 | 특수교육 제도와 역사 | 3 | 3 | 0 | |
전공 | 특수교육 교육과정 역사와 발전 | 3 | 3 | 0 | |
전공 |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 3 | 3 | 0 | |
전공 | 특수교육 교수법 개발과 교육과정 | 3 | 3 | 0 | |
전공 | 데이터 기반 교육과정 설계 | 3 | 3 | 0 | |
전공 | 특수교육 교육과정 논문지도 및 세미나1 | 3 | 3 | 0 | |
전공 | 특수교육 교육과정 논문지도 및 세미나2 | 3 | 3 | 0 | |
전공 |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 및 법규 | 3 | 3 | 0 | |
전공 | 학습장애 연구 동향 및 과제 | 3 | 3 | 0 | |
전공 | 학습장애 학생 진단 및 평가 | 3 | 3 | 0 | |
전공 | 정서행동장애 연구 동향 및 과제 | 3 | 3 | 0 | |
전공 | 정서행동장애 학생진단 및 평가 | 3 | 3 | 0 | |
전공 | 통합교육연구 | 3 | 3 | 0 | |
전공 | 학습 및 행동장애 학생 사회성연구 | 3 | 3 | 0 | |
전공 | 학습 및 행동장애 논문지도 및 세미나 Ⅰ | 3 | 3 | 0 | |
전공 | 학습 및 행동장애 논문지도 및 세미나 Ⅱ | 3 | 3 | 0 | |
전공 |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복합적 접근 | 3 | 3 | 0 | |
전공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 3 | 3 | 0 | |
전공 | 사회통합과 평생교육 | 3 | 3 | 0 | |
전공 | 장애인 평생교육 논문지도 및 세미나1 | 3 | 3 | 0 | |
전공 | 장애인 평생교육 논문지도 및 세미나2 | 3 | 3 | 0 | |
전공 | 통합교육의 철학과 국제적 동향 | 3 | 3 | 0 | |
전공 | 통합교육 실천전략 | 3 | 3 | 0 | |
전공 | 개인차와 통합교육 | 3 | 3 | 0 | |
전공 | 통합교육과 사회통합 | 3 | 3 | 0 | |
전공 | 통합교육 논문지도 및 세미나1 | 3 | 3 | 0 | |
전공 | 통합교육 논문지도 및 세미나2 | 3 | 3 | 0 | |
전공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 | 1 | 1 | 0 | |
전공 |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 | 1 | 1 | 0 | |
공통 | 대학원 영어 | 3 | 3 | 0 | P/F과목 |
104 | 104 | 0 |
교과목 해설서
연구방법 수립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Establishing Research methods) | 양적, 질적 연구방법의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연구방법을 이해한다. |
---|---|
양적연구와 통계 (Basic Statistics) | 양적 연구 수행을 위한 기본적인 기초 통계에 대해 이해하고 통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
질적연구 (Qualitative Research) | 질적 연구방법의 유형별 이해를 바탕으로 질적연구의 수행방법 및 절차에 대해 이해한다. |
단일대상연구 및 논문지도(Single subject design Research and Guide of Thesis) | 특수교육의 주요 연구방법인 단일대상연구의 설계 및 실행 절차에 대해 이해한다. |
특수교육행정 (Administr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 우리나라 특수교육 행정 체계 및 관련 정책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특수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색한다. |
특수교육정책론 (Special Education Policy) | 특수교육 정책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 적용 사례를 탐구하여, 학생들이 특수교육 정책의 개발, 시행, 평가에 필요한 지식과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특수교육 제도와 역사(System and History of the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의 발전 과정과 제도의 변천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현재의 특수교육 제도를 분석하여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특수교육 교육과정 역사와 발전(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와 발전 속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발전 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교육과정적 통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교육과정적 통합에 대한 접근을 이해한다. |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 | 개별화교육계획과 교육과정의 관계 정립 및 상호 연계된 질 높은 특수교육 실현을 위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이해한다. |
특수교육 교수법 개발과 교육과정(Special Education Teaching Methods in Curriculum) |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과정으로서 교육과정 재구성으로서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 및 교수법 개발의 실제적 전략을 이해한다. |
데이터 기반 교육과정 설계(Data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빅데이터 및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 의사결정을 통한 개별 학습자 맞춤형 개별화된 교육과정 설계 역량을 기른다. |
특수교육 교육과정 논문지도 및 세미나1 (Thesis and seminars1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특수교육 교육과정 전공 트랙 분야 논문지도에 필요한 기초적이고 개별적인 지도를 통해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발표한다. |
특수교육 교육과정 논문지도 및 세미나 2(Thesis and seminars2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특수교육 교육과정 전공 트랙 분야 논문지도를 통해 계획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여 논문으로 정리한다. |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 및 법규 (Policy and Law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 및 관련 법령의 최근 동향을 이해하고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의 비전과 발전 과제를 탐색한다. |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복합적 접근(Convergence Approach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해 교육학, 사회복지학, 철학, 문학, 사회학, 예술학, 체육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복합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융복합적 사고 역량을 기른다.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Program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고 증거 기반, 수요 기반에 따른 경험 중심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역량을 기른다. |
사회통합과 평생교육(Social Inclusion and Lifelong Education) | 국내외 평생교육을 통한 사회통합 실현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장애인 평생교육으로의 적용 방안을 모색한다. |
장애인 평생교육 논문지도 및 세미나 1(Thesis and seminars1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장애인 평생교육 전공 트랙 분야 논문지도에 필요한 기초적이고 개별적인 지도를 통해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발표한다. |
장애인 평생교육 논문지도 및 세미나 2Thesis and seminars2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장애인 평생교육 전공 트랙 분야 논문지도를 통해 계획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여 논문으로 정리한다. |
학습장애 연구 동향 및 과제 (Trends and Issues in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학습장애의 개념, 진단, 중재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심층적으로 탐구함으로써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연구와 실천에서 직면하는 과제들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과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학습장애 학생 진단 및 평가 (Diagnosis and Evalu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학습장애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하는 방법론과 절차를 탐구하고 학습장애의 정의, 유형, 진단 기준 및 평가 도구를 다룬다. |
정서행동장애 연구 동향 및 과제 (Trends and Issue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에 대한 연구 동향을 탐구함으로써, 정서행동장애(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의 정의, 원인, 평가 및 개입 방법을 학습하고, 최신 연구 결과를 통해 실천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둔다. |
정서행동장애 학생진단 및 평가 (Diagnosis and Evaluation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정서행동장애(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를 가진 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연구기반의 진단평가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
통합교육연구 (Inclusive Education Research) | 다양한 능력과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통합교육의 철학, 원칙, 전략 및 실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며, 교육 현장에서의 통합교육 모델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
학습 및 행동장애 학생 사회성연구 (Social Skills Research for Students with LD/BD) | 학습 및 행동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사회성 기술을 개발하고 대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방법론 탐구한다. |
학습 및 행동장애 논문지도 및 세미나 Ⅰ (LD/BD Thesis Guidance and Seminar Ⅰ) | 학습 및 행동장애 전공 분야 논문지도에 필요한 기초적이고 개별적인 지도를 통해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발표한다. |
학습 및 행동장애 논문지도 및 세미나 Ⅱ (LD/BD Thesis Guidance and Seminar Ⅱ) | 학습 및 행동장애 전공 트랙 분야 논문지도를 통해 계획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여 논문으로 정리한다. |
통합교육의 철학과 국제적 동향 (Philosophy and International Trends of Inclusion) | 국내외 통합교육의 발전과정을 통해 통합교육의 철학과 이를 실천하는 정책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통합교육 실천전략 (Practice Strategies of Inclusion) | 통합교육을 실제화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을 수립하고 적용하여 실천적 역량을 함양한다. 교육과정적 통합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조건, 전문성 등을 이해하고 적용 방안을 도출한다. |
개인차와 통합교육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clusion) | 다양한 개인차를 지닌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실제를 위한 학습자별 접근법을 이해한다. |
통합교육과 사회통합(Inclusion and Social Integration) |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과정으로서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사회통합을 이끌기 위한 통합교육의 지향점을 이해한다. |
통합교육 논문지도 및 세미나 1 (Thesis and seminars1 of Inclusive Education) | 통합교육 전공 트랙 분야 논문지도에 필요한 기초적이고 개별적인 지도를 통해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발표한다. |
통합교육 논문지도 및 세미나2 (Thesis and seminars2 of Inclusive Education) | 통합교육 전공 트랙 분야 논문지도를 통해 계획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여 논문으로 정리한다. |
대학원영어 (Graduate English) | 급격한 기술의 발전과 세계화 흐름 속에서 지역 간, 전공 간 경계가 약화되고 이들 간에 글로벌한 소통과 융합적 연구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본 교과목은 대학원 수준의 학문 공동체 관점에서 종합적인 영어 능력(학술논문 읽기, 쓰기, 학술 발표 등)을 배양할 수 있는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대학원생들이 전 세계의 연구자들과 학술적 소통을 하고, 다양한 해외 연구 자료에 접근하여 깊이 있는 교육 및 영향력 있는 학술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데 목적을 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