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공연예술학과

학과목적

  • 본 전공의 기본 목적은 공연을 포함한 음악, 미술, 무용, 영상디자인, 경영 등의 창작예술 분야와 예술경영 분야가 융합된 예술학 체계를 개발하고 실천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학과목표

1. 예술창작에 대한 학술적 전문지식을 함양

2. 예술창작의 실험실습을 강화하여 전문성 제고

3. 예술창작을 통한 창의적 프로그램개발 전문가 양성


학과특성

  • 첫째, 문화예술 관련 산업체와 연계하여 산학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함.
  • 둘째, 공연예술현장에 직접 참여하고 실제 실습하는 세미나 개최(매년 2회 개최)
  • 셋째, 문화예술학회를 통하여 국내외 학술교류와 지식의 완성도를 제고함.
  • 넷째, 관련 분야의 심화 학습과 연구를 제고할 수 있도록 졸업 전 소논문 발표를 지도함.
  • 다섯째. 세부 전공은 학습자의 학위 논문 주제에 따라 분류되어 결정됨.

발전방향

  • 첫째, 문화예술과 관련된 연구소와 산업체와 MOU 체결을 확대
  • 둘째, 산학연관의 정책토론회를 년1회 개최하여 이 분야의 개선점을 찾음.
  • 셋째, 문화예술산업에 대한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교육 실시
  • 넷째, 문화예술 분야와 관련된 국제자격증 개발 실시

교수소개

교수소개의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호실, 연구실 전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호실 연구실 전화
유호종 경영학 경영학 박사 C7-201 031-8075-1675
변정민 응용예술학 예술학 박사 C5-1009 041-750-6228
김동원 특수체육학 이학 박사 C7-708 031-8075-1720
성기영 국악학 국악학 박사 C7-1006 031-8075-1761
조재수 신문방송학 언론학 박사 C7-508 031-8075-1768
김형준 디지털문화콘텐츠 정보시스템학 박사 C7-204 031-8075-1697
류규하 언론정보학 언론학 박사 C7-205 031-8075-1678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전공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 of Social Science) 3 3
전공 예술학개론 (Introduction to Arts Studies) 3 3
전공 예술심리학론 (Principle of Arts Psychotherapy) 3 3
전공 예술마케팅론 (Pricinple of Arts Marketing) 3 3
전공 예술프로그램연구 (Arts Program Research) 3 3
전공 예술작품개발론 (Introduction of Arts Work Development) 3 3
전공 관객개발론 (Consumer Analysis & Positioning) 3 3
전공 공연기획연출론 (Planning & Direction of Performing Arts ) 3 3
전공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Media & Communication) 3 3
전공 영상디자인 (Design of Image) 3 3
전공 공연관람체험세미나 (Experience Seminar of Performing Arts) 3 3
전공 예술전문가세미나 (Music Performing Seminar) 3 3
전공 공연작품분석 (Performance Analysis) 3 3
전공 뮤지컬세미나 (Musical Seminar) 3 3
전공 K-POP 음악세미나 (K-POP Seminar) 3 3
전공 공연예술분석 (Performingl Arts Analysis) 3 3
전공 영상기술과 예술 (Image Technology & Art) 3 3
전공 세계예술전시세미나 (World Art Exhibition Seminar) 3 3
전공 뇌파분석 (Electroencephalography Analysis) 3 3
전공 시나리오 분석 (Scenario Analysis) 3 3
전공 산업디자인 (Principle of Industrial Design) 3 3
전공 시각디자인 (Visual Design) 3 3
전공 무용공연연구 (Dance Performance Studies) 3 3
전공 음악공연연구 (Music Performance Studies) 3 3
전공 미술전시프로젝트 (Project of Art Exhibition) 3 3
전공 예술치료학연구 (Introduction to Arts Therapy) 3 3
전공 음악치료과학 (Music Therapy Science) 3 3
전공 논문작성법 및 논문지도 (Method of Dissertation) 3 3
전공 석사세미나 (Master's Seminar) 3 3
일선 연구윤리 1 1

교과목 해설서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 of Social Science) 석・박사 과정생들의 연구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연구 설계, 문헌 연구, 변수 설정, 가설 개발, 자료 수집, 설문 개발, 샘플링, 분석법 등을 학습함
예술심리학론 (Principle of Arts Psychotherapy) 예술과 심리학의 교차점에서 인간의 정신적, 정서적, 인지적 경험을 탐구하는 학문임. 이 분야는 예술 창작과 감상, 그리고 예술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
예술학개론 (Introduction to Arts Studies) 예술의 기본 개념, 역사, 이론, 그리고 다양한 예술 형태와 그 기능을 탐구하는 학문 분야임. 이 과목은 예술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예술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에 있음
예술마케팅론(Pricinple of Arts Marketing) 문화예술 상품을 기획하고 마케팅 활동을 위한 개념, 분석기법 및 실제 활동 등을 이해하고, 기업의 실무 마케팅을 분석, 수행하는 과제를 통해 마케팅이론이 실무에 적용되는 것을 이해함
예술프로그램연구(Arts Program Research) 예술 프로그램의 개발, 실행, 평가를 다루는 연구 분야이며, 이 연구는 예술 프로그램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그리고 그 효과를 측정하고 이해하는 연구임.
예술작품개발론 (Introduction of Arts Work Development) 사회문화 환경의 변화와 예술적 가치변화에 따른 예술작품에 대한 관객들의 니즈와 원츠를 파악한 후 작품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시키고 연구를 진행함.
관객개발론(Consumer Analysis & Positioning) 예술작품에 대한 관객조사, 시장세분화, 표적 시장, 마케팅 믹스 등을 중심으로, 공연예술의 관객을 발굴할 수 있는 방법론을 이해하고 개발하는 지식을 연구함.
공연기획연출론(Planning & Direction of Performing Arts) 공연예술작품을 위한 초기 기획단계에서부터 제작과정에 따른 구상, 아이템, 프로그램, 홍보, 장소, 예산 등 전반적인 기획과 무대, 조명, 음악, 소품, 특수효과 등 연출을 탐구함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Media & Communication) 공연, 음악, 무용, 미술 등 분야의 스케쥴에 따른 미디어의 효율적 쌍방향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전통매체 및 뉴미디어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연구하며, 잠재적인 관객에 대한 홍보에 활용할 수 있는 수단들을 연구함.
영상디자인(Design of Image) 시각적 콘텐츠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분여를 연구하며, 영상의 시각적 요소, 애니메이션, 색상, 그래픽 등을 포함함. 효과적인 시각적 전달을 통해 감정이나 정보를 관객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함.
공연관람체험세미나(Experience Seminar of Performing Arts) 공연 예술을 직접 경험하고 분석하며, 공연 예술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공연을 경험하고 토론하여 공연 예술의 다양한 요소를 체험하고 연구함
예술전문가세미나 (Music Performing Seminar) 예술의 각 분야(음악, 미술, 연극영화, 무용)에 있어서 심화된 전문적 지식을 구비한 예술인을 양성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함.
공연작품분석(Performance Analysis) 공연예술을 분석하는 방법과 공연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세미나를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공연 장르와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공연 감상과 토론을 통해 공연 제작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함.
뮤지컬세미나 (Musical Seminar) 뮤지컬에서 사용되는 음악, 미술, 무용, 연극 등을 이해하고 뮤지컬에서 예술적인 요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소재들과 성공 사례를 분석하면서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에 관한 연구를 함.
K-POP 음악세미나(K-POP Seminar) K-POP 성공사례 분석과 지속해서 성장 가능한 장르와 분야의 기획과 설계를 통해 복합적인 공연예술의 형식과 형태로 발전시키는 방안에 관해 연구함.
공연예술분석(Performingl Arts Analysis) 각 나라의 다양한 공연예술을 비교 분석하고 공연예술의 역사적 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여러 국가의 문화에서 공연예술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탐구함
영상기술과 예술(Image Technology & Art) 영상콘텐츠를 통해 증강현실과 가상환경, 영상합성(CGI), 차세대 영상콘텐츠(메타버스 및 홀로그래피)를 활용, 일상생활로 그 활용도를 확대하여 새로운 산업 창출 가능성을 탐구함
세계예술전시세미나(World Art Exhibition Seminar) 세계적인 예술작품들의 트렌드를 조사 분석하고 예술작품의 전시를 통하여 예술성과 대중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전시 전문가를 양성함.
뇌파분석(Electroencephalography Analysis) 뇌파(EEG)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과정과 관련된 학문 및 기술적 접근을 다루는 분야임. 이 과정은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고 해석하여 신경과학적, 심리적, 의학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연구임
시나리오 분석(Scenario Analysis) 기존 공연과 영상의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흥행 요소와 문제점의 보안 방법 연구 및 OSMU 활용 방안 탐구와 모색을 토대로 새로운 장르에 맞는 콘텐츠 개발을 수행함
산업디자인 (Principle of Industrial Design) 제품의기능성과 미적 요소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필요와 기대를 충족시키는 디자인 분야를 연구함. 제품의 외관과 기능을 개선하고 생산과정의 효율을 높이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둠.
시각디자인 (Visual Design)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감정을 유도하는 분야을 연구함. 색상, 형태, 타이포그래픽, 이미지 등을 조합하여 사용자 경험의 향상,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하는 작업을 함.
무용공연연구(Dance Performance Studies) 특정 목표를 가지고 무용작품의 창작, 준비, 실행, 및 평가 과정을 포함 함. 무용가, 안무가, 제작자, 기술팀 등 다양한 참여자들이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함. 무용공연프로젝트는 무용 예술의 창의적, 교육적, 커뮤니티적, 상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임.
음악공연연구(Music Performance Studies) 특정 목표를 가지고 작품의 준비와 실행, 관련된 모든 활동을 포함하며, 음악가, 작곡가, 제작자, 기술 팀 등이 협력하여 진행하며, 음악공연 프로젝트는 공연의 예술적, 교육적, 커뮤니티적, 상업적 목표를 달 성하기 위한 연구임.
미술전시프로젝트 (Project of Art Exhibition) 미술치료의 이론과 연구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미술치료의 과학적 근거와 실제 적용을 논의하는 학술 세미나이며, 미술치료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실무와 이론을 교류함.
예술치료학연구 (Introduction to Arts Therapy) 음악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과학적 연구 결과를 탐구하고 논의하는 학술 세미나이며, 음악치료의 효과, 방법론, 연구 결과 등을 공유하며,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최신 정보를 교류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함.
음악치료과학(Music Therapy Science) 예술치료의 기본 개념과 기법을 소개하고, 음악, 미술을 통해 심리적 치유를 통한 건강증진 방법을 학습하는 분야임. 이 과목은 예술치료의 이론적 기초와 다양한 방법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둠.
논문작성법 및 논문지도(Method of Dissertation) 논문의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논문주제의 방향을 지도하기 위하여 논문계획서 준비와 발표, 논문시작하기, 서론쓰기,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모델, 검증, 결과도출 등에 대한 훈련과 지도가 이루어짐.
석사세미나(Master's Seminar) 석사 세미나 에서는 완성한 논문 초고를 발전시키고 수정 보완하여 관련 학술지에 투고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