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학과목적

국어학, 현대문학, 고전문학, 한국어교육 등을 교수·연구하여 국어국문학을 발달시키고 그 지식을 활용하여 실용 국문학 및 한국어교육 분야를 개척하며 새로운 지식을 연구하여 국문학의 영역을 확장해서 전문 분야에 종사할 수 있는 학자와 교육자를 양성한다.


학과목표

  • 국어국문학의 전문 지식을 교수·연구하여 국어국문학을 발달시킨다.
  • 한국어교육, 한국한문학, 영상문학의 실용 국문학을 정착시킨다.
  • 다문화연구와 디지털문학의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한다.

학과특성

  • 현대 사회에 필요한 실용주의 학문과 실제적 학문의 연구
  • 새로운 비평 방법의 계발, 이를 기존 이론에 적용
  •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통한 학습과 특성 있는 연구 지원
  • 한국어 교육 분야를 포함한 국문학 전반에 걸친 연구

발전방향

  • 한국어교육 분야를 개설하여 다문화사회에서 한국어를 체계적으로 강의 인력 양성
  • 중등 교육자 중에서 한국어와 국문학 연구자를 집중적으로 양성하여 사회에 공헌
  •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접맥분야를 개척하여 한국문학의 일원성을 고찰 학자 양성
  • 충남의 중등교사를 재교육하여 충남교육의 질을 향상시킴

교수소개

교수소개의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
신웅순 현대시 문학박사 C4-205 041-750-6682
오선근 희곡론 문학박사 C4-325-1 031-8075-1682
최태호 고전문학사상 문학박사 C4-203 041-750-6684
이강현 현대소설 문학박사 C5-631 041-750-6681
장인애 고전문학시가 문학박사 C5-624 041-750-6680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전공 언어교수이론 3 3
한국어교육개론 3 3
한국의역사와문화 3 3
한국어표현교육법 3 3
이민정책론 3 3
이민법제론 3 3
한국사회의다문화현상이해 3 3
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3 3
지역사회와사회통합 3 3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3 3
아시아사회의이해 3 3
한국어통사론연구 3 3
한국어음운론연구 3 3
한국학특강 3 3
인문학연구 3 3
한국의사상과사회연구 3 3
한국의교육과제도 3 3
한국어문법론 3 3
한국어맞춤법과표준어연구 3 3
한국어이해교육법 3 3
한국어 교육실습 및 참관 3 3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 1 1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 1 1
현대시사연구 3 3
현대문학이론연구 3 3
현대소설연구 3 3
현대시문학연구 3 3
현대비평세미나 3 3
고전작품연구 3 3

교과목 해설서

언어교수이론 Language teaching theory 시대에 따른 언어 교수 방법을 사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 각 교수방법론의 특징에 대해 학습하고 연구한다.
한국어교육개론 Principle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한국어교육의 기본 원리와 방법 등에 대한 전반적인 탐색으로 한국어교육학에 대해 이해한다.
한국의역사와문화 Korean history and culture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깊이 있는 역사와 문화 연구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한국어표현교육법 Teaching Productive Skills of Korean Language 한국어 말하기와 쓰기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외국인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한국어표현교육을 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재와 교수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이민법제론 Introduction of Migration Laws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출입국관리법, 국적법, 난민법,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지위에 관한 법률,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등 이민법제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민정책론 Introduction of Migration Policy 이민의 주요 개념, 전 세계적인 경향, 한국의 현황, 그리고 향후 이민사회의 이민정책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에 대해 연구한다.
한국사회의다문화현상이해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in Modern Society 다문화주의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개념,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변화해 온 과정, 한국적 다문화현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Migration and Multi-cultural Family Social Welfare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정의 유형과 이민다문화가족 복지의 이론적 기초,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실제 등에 대해 연구한다.
지역사회와사회통합 Local Community and Integration Policy 한국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다문화 시대 한국사회의 구성원이 된 다양한 언어문화를 갖고 있는 이들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한국 사회 정착 및통합의 방법을 연구한다.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Teaching Methods for Multi-cultural Society 다문화사회의 이해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글로벌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아시아사회의이해 Understanding of asian society 한국 주변국인 아시아 주요 국가들의 언어, 정치, 경제, 문화, 사회현상, 제도, 교육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해 올바른 지식을 쌓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사회의 사회통합 과제를 이해하고 연구한다.
한국어통사론연구 Korean Syntactic Research 한국어 통사론의 제 이론을 학습하고 한국어의 통사 구조를 연구한다.
한국학특강 Topics on Korean Studies 한국의 언어, 사상, 정치, 문화, 역사 등 다양한 분야를 주제로 연구하고 연구방법론을 학습하는 교과이다.
인문학연구 Humanities Research 인간의 언어, 문학, 예술,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학습하고 이와 관련한 주제를 설정하여 연구한다.
한국의사상과사회연구 Korean Ideology and Social 한국의 사상과 사회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인의 사상, 한국의 사회 현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한다.
한국의교육과제도 Education and System in Korea 한국사회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교육 및 다양한 제도에 대해 살피고 세계화 시대 한국의 교육과제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한국어문법론 Theory of Korean Grammar 한국어의 문법구조를 분석하고 세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한글맞춤법과 표준어연구 Studies of Korean Practice Grammer 한국어 어문규범은 한글맞춤법, 표준어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등에 대한 한국어 어문규범을 연구한다.
한국어이해교육법 Instruction Korean Reding&Listening 언어의 기능 중 읽기 기능과 듣기 기능을 중심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의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수법을 연구한다.
한국어 교육실습 및 참관 Practice in Korean Language Class & Class Observation 한국어교육기관에서의 수업을 참관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의현황을 이해하고 경험하며,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연구한다.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1 학위논문 작성 준비자를 대상으로 연구윤리에 관해 고민하고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실행 가치 등을 점검함으로써 성실한 연구자세 및 효과적인 보고서(학위논문)작성 능력을 기른다.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2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2 기제출된 학위논문계획서 및 예비연구를 재검토하여 연구윤리를 확보하고, 선행연구 모니터링 및 효과적 연구설계를 통해 전반적 연구과정을 직접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인 연구완성에 조력한다.
현대시사연구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현대시의 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시기 • 주제 • 문체에 대한 특수 문제들을 역사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현대문학이론연구 Studies in Modern Literature Theory 문학과 문학연구 영역의 올바른 이해를 기초로 하여 문학연구의 적절한 방법과 정당한 실천 방향을 연구한다.
현대소설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Novel 1910년 이후의 한국소설로, 우리 현대소설의 형성 과정과 구조적 특수성을 연구한다.
현대 시문학 연구 Studies in Korean Poetry 시 이론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작품을 분석하고 시 감상·비평 등의 방법을 연구한다.
현대비평세미나 Seminar in Korean Literature Criticism 문예비평의 본성 및 그 의의를 문학적 시각에서 연구한다.
고전작품연구Studies In Classical Korean Literary Works 시가나 산문, 유형에 관계없이 특정한 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의 특성 및 시대적 의의를 집중적으로 분석·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