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Department of Global Public Policy

글로벌공공정책학과

행정학박사
Doctor of Public Administration

학과목적

글로벌공공정책학과는 공공정책, 공공행정, 공공안전 학문 및 실무 분야에 대한 교육 및 연구를 진행하고, 정보통신(IT)·인공지능(AI)·빅데이터(Big Data)·사물인터넷(IoT)·로봇(Robot)·메타버스(Metaverse) 등 4차 산업 관련 다양한 지식을 행정 및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최첨단 이론과 실무를 교육하여 궁극적으로는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소양을 갖춘 융합형 공공정책 및 경영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음.


학과목표

행정학 전공

  • 글로벌공공정책학과는 공공정책, 공공행정, 공공안전 분야에서 글로벌 공공정책 전문가 양성을 통해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선도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최종 목표를 두고 있음.

정책학 전공

  • 복잡다양해지는 정책 분야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분야별 정책전문가 또는 정책분석가의 양성과 이를 선도할 수 있는 학문적 발전을 추진한다.
  • 정책전문가란 무엇보다 정책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개별 정 책분야에서의 전문지식을 토대로 한 과학적 분석 및 평가능력을 갖추고, 특히 이러한 자질을 포괄할 수 있는 공공정책 마인드를 견지하는 전문가를 의미한다.
  • 하위 세부전공으로 정책이론, 경제정책, 사회정책, 방송통신문화정책, 글로벌정책 분야 등 5 개가 있다.

글로벌행정 전공

  • 경쟁력을 갖춘 최우수 공공부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세계적 수준의 행정학·정책학 교육과 함께 한국의 행정발전에 대한 체계적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갖추고 있다.
  • 교육내용과 연구 관점도 한국의 행정 선진화와 행정개혁의 경험에 기초하여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행정발전에 관한 이론과 실무 지식을 국내외 행정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글로벌 행정역량에 관한 지식체계로 확대, 발전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에 부응한다.

기업정책 전공

  • 공공기관(공기업) 및 민간기업의 중견관리자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교육하여 핵심인력, 공공부문의 차세대 리더로 육성한다. 하위 세부전공으로 공공관리, 공공정책, 기업경영관리 분야 등 3개가 있다.

학과특성

본 대학원 박사과정의 공공정책학과는 국가기관·지자체·군·경찰·공기업·민간기업 등에 종사하는 전문인력들의 안보 및 공공정책 분야에 대한 학문적·실무적으로 그들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개설된 학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국가 및 지방정부를 비롯한 공사부문 분야, 공공기관(공기업) 및 민간기업의 중견관리자, 복잡다양해지는 정책 분야의 교과목은 물론 기초공통 분야의 모든 교과목을 심도있게 공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일부 과목에 대해서는 원격화상강의 및 웹기반수업 형태의 수업을 병행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학업의 기회를 미루고 있는 예비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 현직 종사자들에게 폭넓은 장학혜택이 있다.

  • 발전방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공공정책학과는 풍부한 교육 이론과 실무 능력을 갖춘 공공정책학, 행정학, 기업정책학, 글로벌행정 분야의 고급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국가기관·지자체·군·경찰·공기업·민간기업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문성 함양과 자질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운영된다.

    • 공공인재 양성기관, 공공혁신가 양성, 현장중심 행정정책 사례교육, 경쟁력을 갖춘 현직자 재교육 등
    • 연구역량 확보, 연구진 확보, 행정정책 문제의 탐색과 실험, 행정정책을 선도하는 이론 개발 등
    • 지역사회 봉사와 기여, 지역혁신 참여와 지원,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참여, 행정정책 아이디어 지원 등

    교수소개

    교수소개의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
    주일엽 스포츠사회학 체육학박사 C5-529 041-750-6213
    이애리 관광학 관광학박사 C3-408 041-750-6712
    오현규 행정학 행정학박사 C3-206 041-750-6277
    엄준용 교육행정학 교육학박사 IA-610 031-8075-1732
    권성연 교육공학 교육학박사 IA-602 031-8075-1726
    최경애 교육학 교육학박사 IA-604 031-8075-1778
    김광석 신문방송학 언론학박사 C6-499 031-8075-1776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전공 정치행정학 3 3
    사회학세미나  3 3
    행정조직론세미나 3 3
    정책소통학세미나 3 3
    국제개발협력론 3 3
    공공경제학 3 3
    지방자치론 3 3
    비정부기구론세미나 3 3
    공공환경디자인세미나 3 3
    공공윤리학세미나 3 3
    지식정보시대의 전자정부론 3 3
    정보통신과 과학기술 3 3
    빅데이터와 정보체계론 3 3
    행정학 3 3
    행정법세미나 3 3
    재무행정론 3 3
    글로벌행정세미나 3 3
    공공정책사례세미나 3 3
    정책학 3 3
    공공정책기획론 3 3
    인적자원관리론 3 3
    글로벌행사기획론 3 3
    의전비서세미나 3 3
    문화예술정책론 3 3
    글로벌리더십 3 3
    안보학 3 3
    행정과 시큐리티 3 3
    양적연구방법론 3 3
    질적연구방법론 3 3
    논문연구 3 3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 3 3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 3 3

    교과목 해설서

    정치행정학 Politics and Administration 정치와 행정의 상호작용과 정치체에서 행정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고, 정치와 행정의 상호의존성과 상호작용, 그리고 정치체에서 행정의 역할과 영향력에 대하여 교육한다.
    사회학세미나 Sociology Seminar 개인과 집단의 행동, 그리고 사회 구조와 제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사회 현상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설명함으로써 사회적인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안에 대해 교육한다.
    행정조직론세미나Public Administration Theory 공공행정 분야에서 조직의 구조, 기능, 관리 등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과 이해를 다루며, 정부, 공공기관 및 비영리 단체와 같은 공공조직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교육한다.
    정책소통학세미나Policy Communication 정책 결정 및 실행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중요성을 연구하고, 정부, 비영리 단체, 기업 등 다양한 조직이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때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국제개발협력론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다양한 국가들 간의 협력과 지원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을 촉진하는 이론적인 접근과 실천을 다루며, 국제 기구, 정부, 비정부 기구, 시민 사회 등이 협력을 통한 개발도상국의 빈곤 감소, 보건 개선, 교육 확대, 경제 발전 등을 교육한다.
    공공경제학 Public Economics 정부, 공공부문 및 공공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정부의 역할, 세금, 정부 지출, 규제, 공공재 및 공공사업의 제공 등과 같은 주제를 교육한다.
    지방자치론Local Self-Government 지방 주민들이 직접 또는 지방 의회를 통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의 발전을 위한 정책을 결정하는 정치체제에 대하여 교육한다.
    비정부기구론세미나 Seminar o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예를 들어 인권, 환경 보호, 빈곤 퇴치, 교육, 보건, 인도주의적 지원, 여성 권리, 아동 보호, 동물 복지 등 다양한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는 비정부기구(NGOs)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교육한다.
    공공환경디자인세미나 Public Environmental Design Seminar 공공장소, 건축물 등을 디자인하여 범죄예방, 안전관리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며, 공공 공간의 기능성, 미적 감각, 사회적 상호작용 등 디자인 요소의 통합을 교육한다.
    공공윤리학세미나 Public Ethics Seminar 공공정책, 행정, 정치 등 공공부문의 의사결정과 행동에 대한 윤리적 측면을 연구하고, 집단의 이익, 정의, 공정성, 투명성 등과 같은 윤리적 원칙을 공공부문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교육한다.
    지식정보시대의 전자정부론 E-Government in the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전자정부의 출현 배경과 개념, 지향가치, 조직간 수평적·협력적 관계설정, 민영화와 아웃소싱, 온라인 시민참여, 정보공개와 정보서비스,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 사이버정부, 온라인 성과평가 등을 교육한다.
    정보통신과 과학기술 IT and Science Technology 정보통신·인공지능·빅데이터·사물인터넷·로봇·메타버스 등 4차 산업 중심의 과학기술과 연계한 행정 이론 및 실무를 교육한다.
    빅데이터와 정보체계론 Big Data and Information System 정보화 사회와 행정의 변화, 행정정보체계와 정보기술 인프라, 정보기술의 응용, 행정정보체계의 개발방법론, 정보민주주의, 정보정책 등에 대해 교육한다.
    행정학 Public Administration 정부와 국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상호작용에 대한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의 행정 이론 및 실무에 대해 교육한다.
    행정법세미나Administrative Law Seminar 행정권을 중심으로 한 조직 및 작용과 구제에 관한 효력이 발휘되는 국가가 행하는 공법에 대해 교육한다.
    재무행정론Financial Administration 글로벌 사회에 적합한 글로벌 리더십과 공공윤리의 필요성, 글로벌 리더십의 특성, 사회혁신, 지적 발전, 공공윤리의 필요성, 공공윤리의 내용 등을 논의한다.
    글로벌행정세미나Global Administration Seminar 글로벌 사회에 적합한 행정이론을 지향하며 이를 위한 글로벌 조직, 글로벌 리더십, 글로번 인재양성, 글로벌 거버넌스, 글로벌 정책 등 다양한 글로벌 행정이론을 교육한다.
    공공정책사례세미나 Public Policy Cases Seminar 국가기관의 효율적인 공공정책 운영과 공기업 및 민간기업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사례 및 기법에 대해 교육한다.
    정책학Policy Science 정치·교육·외교·군사·산업·노동·금융·교통 등 정책을 실천적 견지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공공정책기획론Public Policy Planning 행정·경영 관련 정책기획의 의의, 기회에 대한 사례, 기획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하여 교육한다.
    인적자원관리론 IT and Science Technology 국가차원의 공공 및 민간부문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인사관리하는 과정과 방법을 교육한다.
    글로벌행사기획론 Global EventsPlanning 국가기관, 공기업, 민간기업의 행사계획, 행사준비, 행사진행, 행사평가 등 글로벌 행사 기획에 대해 교육한다.
    의전비서세미나Protocol and Secretary Seminar 국가행사 및 사교활동을 위한 의전체계를 이해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비서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문화예술정책론Culture and Arts Policy 국가와 사회의 문화 및 예술 활성화를 위한 국가기관, 지자체 등 공공기관의 문화예술 정책에 대한 제반사항을 교육한다.
    글로벌리더십Global Leadership 공공 및 민간 조직에서 집단의 목표나 내부 구조의 유지를 위하여 성원(成員)이 자발적으로 참여도록 유도하는 글로벌 리더십 능력을 교육한다.
    안보학 National Security 외부의 위협이나 침략으로부터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기관의 행정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행정과 시큐리티 Administration and Security 국가안보와 사회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행정 이론 및 실무에 대해 교육한다.
    양적연구방법론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행정 및 정책 연구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방법론적 연구역량의 배양과 양질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설계의 논리와 유형을 이해한다.
    질적연구방법론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이론적인 측면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양적 연구방법과의 차이, 질적 연구 방법의 필요성을 탐구한다.
    논문연구 Thesis Research 논문 제출을 위한 논문계획수립, 논문작성, 논문제출 등 제반 내용 및 절차에 대해서 지도교수의 지도아래 연구하고 토의한다.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1Research E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 1 연구윤리에 대한 제반사항과 논문작성을 위한 실질적인 이론과 기법을 교육한다.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2Research E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 2 연구윤리에 대한 제반사항과 논문작성을 위한 실질적인 이론과 기법을 교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