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Department of Smart Power IT Fusion Engineering

스마트전력 IT 융합학과 (스마트전력IT융합학, 전기전자공학*)

공학박사
Ph.D of Engineering

“*” 표시 세부전공은 외국인 대상 집중이수제 이중언어(통역) 이수과정임

학과목적

1. 스마트전력(SMART Power)과 IT(Information Technology)의 융복합화된 퓨전교육(Fusion Education)을 목적으로 한다.

2. 창의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한다.


학과목표

전자회로 , 디지털 신호처리, 디지털공학, 디스플레이 공학 그리고 반도체공학 등 교육과정을 이수함으로 관련 산업체, 연구기관 그리고 지역사회에 기반한 특화산업을 위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창의인재의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취업과 연계된 인력을 양성한다.

  • 목표1. 중전기기 및 전력산업분야 그리고 나노테크놀리지를 융복합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이수함으로 대학 및 산업체 그리고 연구기관 등에 이론과 실무를 갖춘 창의인재를 양성한다.
  • 목표2. 자동차산업과 연계된 4차 산업 (IoT. 인공지능 그리고 인버터/컨버터)전문분야를 교육하여, 전략 및 반도체 관련 산업분야, 관련 연구기관 등에 필요한 창의인재를 양성한다.
  • 목표3. 경기권 영역인 지역산업과 연계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분야의 전문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학과특성

  • 국내 산업체 및 연구소 등 근무자들에게 기회의 교육환경으로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스마트전력 IT융합학과의 미래를 밝히고자 한다.
  • 국제적인 교육환경으로, 이중언어과정의 박사과정을 교육.운영하여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는 스마트전력 IT융합학과의 미래를 밝히고자 한다.
  • 지역과 연계된 연구 그리고 산업에 필요한 인력양성을 스마트전력 IT융합학과에서 미래를 밝히고자 한다.

발전방안

  • 산.학.연의 연구구도를 지향하는 교육을 목표로 지속적인 관심과 실행을 할 것이다.
  • 교양과 전문지식을 지속적으로 향상 시켜 각 분야에 선도적인 기술, 직업적 책임감 그리고 국제적 감각 등을 갖는 명실공히 완성된 전문기술인을 배출하여 국가 사회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교수소개

교수소개의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
박재준 전기절연/NT 공학박사 C6-711 031-8075-1633
이동윤 통신시스템 공학박사 C6-710 031-8075-1632
김영선 전기기기/전자장 공학박사 C6-709 031-8075-1631
민창기 전력시스템 공학박사 C6-708 031-8075-1635
박익준 반도체소재 및 소자 공학박사 C6-707 031-8975-1636
윤만영 전자응용물리 이학박사 C6-819 031-8075-1663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전공 MOS반도체물리 특론 3 3
마이크로전자회로 특론 3 3
박막트랜지스터공학 특론 3 3
전력경제특론 3 3
전력계통 신뢰도평가 이론 3 3
전력계통운영(고급) 3 3
디지털통신 특강 3 3
프로그래밍 특강 3 3
조명공학 특강 3 3
전자장 수치해석 3 3
전기에너지변환론 3 3
유전체나노공학특론 3 3
고전압대전력공학 3 3
지능형 전기설비공학 특론 3 3
전력용 IoT 센서공학특론 3 3
인공지능응용 3 3
논문세미나 3 3
논문특별연구 세미나 3 3
직류 및 교류 트리잉파괴 이론 3 3
전기화학 특론 3 3
전기기계 특론 3 3
디스플레이 공학 특론 3 3
지능형 제어공학 특론 3 3
나노분산 공학 특론 3 3
뇌방전 이론 3 3
전자물성공학 특론 3 3
반도체물성공학 특론 3 3
전기물성공학 특론 3 3
전기기기설계특론 3 3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 지도1 3 3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 지도2 3 3
전자기록보존학 3 3
전자기록보존세미나 3 3
전자기록관리체계특론 3 3
전자기록프로젝트 3 3

교과목 해설서

MOS반도체물리 특론 Advanced MOS Semiconductor Physics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핵심 산업 중 하나인 실리콘 반도체의 물리적인 개념과 공학적인 원리 및 특성을 학습한다.
마이크로전자회로 특론 Advanced Microelectronic Circuits 반도체의 기본 개념과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MOSFET) 기반 다양한 증폭기의 원리 및 특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박막트랜지스터공학 특론 Advanced Thin-Film Transistor Engineering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물성, 동작원리, 특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력경제특론 Advanced Power system economics 전력경제 이론과 다양한 전력시장 운영 원리 및 사례에 대해 살펴봄
전력계통 신뢰도평가 이론 Power system reliability evaluation theory 전력계통의 신뢰도평가의 개념과 방법론에 대해 살펴봄
전력계통운영(고급)Power system operation (advanced) 전력계통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방안에 대해 살펴봄
디지털통신특강 Advanced Topics in Communication Systems 무선통신공학의 이론 및 응용분야와 무선 통신과 이동 통신 관련 이론과 다원접속방식 셀 설계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 핸드오버 및 이동성 관리 방안 등에 대해 다룬다
프로그래밍특강 Special Lecture of Programming.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설계 개념과 구현기법 그 특징들을 실존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가지고 설명한다. 이런 개념들을 컴퓨터에서 이용되는 자료들을 다루는데 필요한 연산 순서제어 자료제어 기억장소 할 당 등에 관해 연구 한다
조명공학특강 Advanced Illumination Engineering 광원 구동회로 등기구등의 구성을 소개하고 빛의 발생과 측정량 단위를 이해하고 빛의 성질, 광학적 설계, 광원의 종류, 등기구 역할 및 조명의 응용분야 등을 설명한다.
전자장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Electromagnetic Fields 정전기장, 정자기장 및 교류 자기장의 전자기 이론과 이러한 현상의 지배방정식을 이용한 컴퓨터 연산을 통한 전자기장의 수치해석을 학습한다. 전자기장의 수치해석은 보이지 않고 어려운 수학으로 구성된 이론을 시각화하고 이를 전기기기에 적용함으로써 변압기, 모터, 발전기의 해석 및 설계에 유용할 수 있다.
전기기기설계특론 Special lecture on Electrical machine desigh 전기기기설계특론은 전기기기의 구동원리를 이용하여 전기기계의 대표적인 직류기, 변압기, 유도기, 동기기 등의 설계이론을 배우고 목적에 맞는 전기기기를 설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교과는 실무에 적용하는 초기단계의 교과로써 전자기학 및 전기기기 이론이 선행학습되어야 한다.
유전체나노공학특론 Special lecture on Dielectric Nano Technology Engineering 직류 및 교류전력기기에 필요한 고절연과 신뢰성에 필요한나노테크놀러지공학과 융.복합화하는 분야를 심도있게 연구 및 공부하게 된다.
고전압대전력공학 특론 Special lecture on High Voltage and High Power Engineering 직류고전압의 발생 및 전송 그리고 교류고전압의 빌생 및 전송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실제 선로상 발생된 문제점의 분석 및 해결할 수 있는 능력배양
지능형 전기설비공학 특론 Special lecture on Intelligent Electrical Equipment Engineering 전기설비에 지능형을 탐재한 전기설비를 설계하고 시공 그리고 감리하는 분야를 공부하게 된다.
전력용 IoT 센서공학특론 Special lecture on IoT Sensor Engineering for Power 기본적인 디지털공학과 관련된 IoT공학과 고전압전력계통에서 활용할 수 있는 IoT센서의 접목에 관한 분야를 공부하게 된다
인공지능응용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을 공학적 바탕으로 적용 연구한다.
논문세미나 Thesis Seminar 매학기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는 분야의 논문을 발췌 발표한다.
논문특별연구세미나 Lab. Seminar 전공분야의 발표논문을 선별하여 발표하고 이에 대한 토의를 한다.
직류 및 교류 트리잉 이론 DC and AC Treeing Theory 액체 및 고체 절연체에 있어서 직/교류전압, 고주파 전압 및 충격파 전압에 대한 부분 방전인 트리의 발생기구를 규명하고 그의 발생 방지대책을 이해시킨다.
전기화학 특론 Special lecture on Advanced Electric Chemistry 전기화학의 기초이론 및 원리를 습득하여 전지, 축전지, 전기화학공업 등 최신 이론을 습 득하고 새로운 기술개발과 응용범위 확대한다
전기기계 특론 Special lecture on Theory of Electrical Machinery 전기기기 및 장치 전반에 걸친 전자에너지 변환 형상을 이해시키고, 그의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디스플레이공학 특론 Special lecture on Display Engineering 디스플레이공학은 디스플레이의 기본 원리부터 TFT-LCD, PROJECTION DISPLAY, PDP, OLED, FLEXIBLE DISPLAY, FED, CRT, 3차원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전반에 걸친 기술을 공학적으로 이해하고, 산업체 어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적용 할 수 있도록 응용기술을 습득한다.
지능형 제어공학 특론 Special lecture on Intelligent Control Engineering 퍼지 이론과 신경망이론을 이용한 제어법을 배운다. Fuzzy Set, Relations, Functions 등 각종 기초 개념을 배우고, 퍼지모델과 시스템, 그리고 퍼지제어기를 배우며, 신경망의 구조 및 학습법, BPN, CPN, Associative Memory 및 그 응용 배우게 된다.
전력계통의 최적제어 Optimal Control of Power Systems 전력시스템의 비선형 최적제어를 위한 제반 방법론을 비교 검토하여 특히 신경회로망의 응용과 적응제어 기법 및 선형 최적제어방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나노분산공학 특론 Special lecture on Nano Dispersion Engineering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들을 기초로 하여 전기전자공학에 적용하기 위해 나노입자를 완전히 분산시키기 위해 공학적 측면에서 있게 연구한다.
뇌방전 이론 Lightning Discharge Theory 정전기의 발생 및 방전에 관한 기초이론, 발생설비 및 그이 응용과 뇌방전 전류 전류 측정 및 뇌격 방지대책을 이해시킨다.
전기물성공학 특론Special lecture on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 각종 전기재료의 물성처리 과정 및 기술적인 제한 등을 다룬다. 절연체, 강자성재료, 도체, 반도체 등을 대상으로 하여 이 들의 전기적인 물성을 습득시킨다.
물리전자공학 특론 Special lecture on Physical Electronics Engineering 반도체 전자소자에 대한 과목으로 고체 물리와 반도체 전자소자에 대한 물리적인 지식과 이해를 도모하고, 반도체 재료의 종류와 미래 소자 및 그 응용에 필요한 원리를 학습한다.
반도체공학 특론 Special lecture on Semiconductor Properties Engineering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핵심 산업 중 하나인 실리콘 반도체의 물리적인 개념과 공학적인 원리 및 특성을 이해하여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 지도1 Research et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 1 연구윤리(Research Ethics) 연구자가 “바람직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지켜야 할 윤리”를 말하며,연구 수행과 논문을 작성하는 모든 과정을 통하여 진실성(integrity)을 확보하고, 부정행위(research misconduct)나 부적절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연구 계획 단계부터 논문 출판까지 전 과정에서 모든 연구자가 반드시 지켜야 하는 최소한의 윤리적인 사항이다. 연구의 주제 선정과 기획, 생명체 연구의 윤리,연구대상 선정과 수집, 실험의 수행, 연구노트 작성, 자료수집과 정리 등 모든 과정에서 지켜야 할 윤리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 지도2 Research et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 2 연구윤리(Research Ethics) 연구자가 “바람직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지켜야 할 윤리”를 말하며,연구 수행과 논문을 작성하는 모든 과정을 통하여 진실성(integrity)을 확보하고, 부정행위(research misconduct)나 부적절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연구 계획 단계부터 논문 출판까지 전 과정에서 모든 연구자가 반드시 지켜야 하는 최소한의 윤리적인 사항이다. 연구의 주제 선정과 기획, 생명체 연구의 윤리,연구대상 선정과 수집, 실험의 수행, 연구노트 작성, 자료수집과 정리 등 모든 과정에서 지켜야 할 윤리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전자기록보존학 Preservation of Electron Archives 전자문서와 필름 및 전자기록물 등 각종 자료를 보관하고, 마이크로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작하는 방법을 익히며, 이와 관련된 보존과학의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전자기록보존세미나 Seminar in Electron Archives Preservation 전자기록물관리,보존과 관련된 특정한 주제를 선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전자기록관리체계특론 Advanced Electron Archival Management System 공공기관에서의 전자기록관리 내용과 과정을 이해한다. 전자기록물 관리는 행정행위의 결과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기록관리현장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어떤 과정을 거쳐서 업무처리가 진행되는 가를 실무적 차원에 다룬다.
전자기록프로젝트 Electron Archives Project 전자기록물관리 관련 프로젝트 연구에 필요한 언어나 방법론을 이해하고 습득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심층적인 학습과 토론을 병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