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문화콘텐츠학과 (문화콘텐츠학, 글로벌문화콘텐츠학*)

예술학박사
Doctor of Philosophy

“*” 표시 세부전공은 외국인 대상 집중이수제 이중언어(통역) 이수과정임

학과목적

  • 문화콘텐츠학과는 문화의 사회적 현상의 결과인 만화애니메이션, 실용음악, 사진, 방송, 게임, 영화, 메이크업 등을 포괄하는 문화콘텐츠의 연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 우리 학과는 문화콘텐츠 분야의 깊이 있는 지식과 표현 방법 등을 연구하고, 콘텐츠를 제작 할 수 있는 능력과 비평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4차 산업의 주요 부분인 문화콘텐츠 산업을 주도해나갈 인재를 양성하고, 한류의 큰 축인 실용음악, 영상, 만화애니메이션, 뷰티분야에서 국내•외 글로벌 문화컨텐츠 인재를 양성한다.

학과목표

  •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 인재 양성
  • 문화기술 융 복합 교육, 연구를 통한 창의 연구 인재 양성
  • 문화 콘텐츠 산업의 기획능력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양성

학과특성

  • 문화콘텐츠분야는 다양한 문화의 산출물들을 가공 유통하는 분야이다.
  • 콘텐츠 분야를 크게 나누어 공연예술과 시각예술로 구분할 수 있다.
  • 문화콘텐츠 학과에서 실질적 운영에 두 분야의 공통부분의 수업과 공연예술전공, 시각예술전공으로 세분하여 교과과정을 운영한다.
  • 문화콘텐츠 분야의 전문지식을 지속적으로 연구 수행하여 세부전공별로 심도 있는 연구능력을 향상한다.

발전방안

문화콘텐츠학과는 인문학적 소양과 문화의 산물인 콘텐츠를 연구, 개발,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국제교류를 통한 글로벌 문화콘텐츠 전문인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운영한다.

  • 21세기를 선도하는 미래 성장 동력 문화콘텐츠 전문인 양성
  • 만화애니메이션, 사진, 디자인, 실용음악, 게임, 영화, 뷰티 전문 콘텐츠 제작자 양성
  • 글로벌 한류 선도 인재양성
  • 산학 공동 R&D 연구개발

교수소개

교수소개의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전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
박정신 메이크업디자인 이학박사 C1-215-1 041-750-6288
변정민 공연예술 응용예술학박사 C5-1009 041-750-6228
성기영 작곡 국악학박사 C7-1006 031-8075-1761
현혜연 시각인류학 철학박사수료 C7-407 031-8075-1700
허현주 영상커뮤니케이션 영상학박사 C7-407 031-8075-1692
안시준 디지털미디어 사진학박사 C7-405 031-8075-1690
지명원 관광경영 호텔관광경영학박사 C3-404 041-750-6909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전공
교과목
문화콘텐츠산업조사방법연구 3 3
문화관광콘텐츠산업세미나 3 3
문화관광정책세미나 3 3
문화관광행동분석세미나 3 3
4차산업과 문화콘텐츠연구 3 3
문화콘텐츠 기획론 3 3
한국예술탐방 3 3
문화원형론 3 3
문화정책 1 1
예술경영 3 3
연구지도1 3 3
에듀테이먼트 콘텐츠 3 3
디지털음악 컨텐츠 3 3
한국 근대 대중음악 연구 3 3
뷰티학특론 3 3
뷰티트렌드분석 3 3
뷰티트렌드분석 3 3
문화콘텐츠이해 3 3
만화애니메이션기획 3 3
애니메이션특강 3 3
가상증강현실연구-메티버스 3 3
매체스토리텔링분석 3 3
디자인기획 및 방법론 3 3
기획안 작성법연구 3 3
멀티미디어콘텐츠실습 3 3
디자인가치론 3 3
영상문화콘텐츠 분석 3 3
시각인류학 3 3
영상미디어론 3 3
디지털이미지론 3 3
연구지도2 3 3

교과목 해설서

문화콘텐츠산업조사방법연구 Research on cultural content industry research methods 문화콘텐츠 산업 전반에 대한 조사 및 분석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으로 콘텐츠 산업의 특성과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정량적·정성적 조사 방법론을 익히고, 산업 실태를 분석하여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콘텐츠 기획 및 정책 제안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역량을 향상시킨다.
문화관광콘텐츠산업세미나 Cultural Tourism Content Industry Seminar 문화와 관광이 융합된 콘텐츠 산업의 주요 동향과 사례를 중심으로, 관련 전문가 강연, 발표, 토론을 통해 산업 전반의 이해를 심화하는 세미나형 수업으로 현장 중심의 문제 인식과 해결 역량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문화관광정책세미나Cultural Tourism Policy Seminar 문화와 관광 분야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이 수립하고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분석하고, 그 성과와 과제를 토론하는 세미나 형 수업으로 정책 수립 과정, 이해관계자 분석, 사례 연구 등을 통해 문화관광정책의 실제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
문화관광행동분석세미나 Cultural Tourism Behavior Analysis Seminar 문화 및 관광 소비자의 심리, 행동 패턴, 의사결정 과정을 과학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세미나형 수업으로 문화관광 콘텐츠의 소비자 반응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능력을 기르며, 실증 데이터와 이론을 결합해 현장 중심의 분석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4차산업과 문화콘텐츠연구 Study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ultural content trends 4차산업혁명시대의 도래로 모든 산업은 사회·문화·경제·환경적 측면에서 상당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진보된 기술과 다양한 경험 이상의 측면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4차산업혁명과 관련하여 변화하는 문화콘텐츠산업 패러다임과 새로운 트렌드를 고찰한다.
문화콘텐츠 기획론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애니메이션, 사진영상, 실용음악의 문화콘텐츠를 제작, 유통, 서비스의 성공을 위한 기획을 이해한다.
한국예술탐방Studying of Korean Art 한국 미술의 다양한 장르를 둘러보는 과목으로, 조선시대의 미술에서부터 최근 한국미술의 경향까지 살펴본다.
문화원형론 Cultural archetype 문화의 가장 근본적 유형을 찾는 작업으로 신화와 종교 전설 우화 역사 정치 경제 사회 예술 등 인류의 전반적인 삶의 패턴을 함축하고 있으며, 문화이미지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이다. 문화유산 등을 소재로 각 시대별 공간별 문화의 원형에 접근하는 방법과 문화에 대한 다각적 분석능력을 교육한다.
문화정책 Culture policy 예술과 문화 산업의 특성에 따른 문화정책 수립에 대해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고 문화정책에 대한 분석력과 통찰력 및 평가력을 키우는 것이 이 수업의 수업목표이다. 정책목표 설정의 타당성 및 정책도구로서의 법규, 행정조직, 재정 등에 대해 배우고 정책의 집행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정책입안자들과의 연결망을 형성하도록 한다.
예술경영 Business Art 예술 유통의 활성화와 예술기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비즈니스 전략을 연구 분석한다.
연구지도1 Advanced Seminar of Thesis1 학위논문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서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무대음악 분석Stage Music analysis 무대에서 사용되는 음악의 특징을 고찰하고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무대음악의 스타일을 분석한다.
에듀테이먼트 콘텐츠Edutainment Contents 오락성을 겸비한 재미있는 학습을 위해 학습과 놀이를 혼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여 활용할 수있도록 한다
디지털음악 컨텐츠 Digital Music contents 음원과 동영상으로 변화한 음악콘텐츠의 특징을 분석하여 미래지향적인 음악의 스타일 및 홍보의 창구로 사용되는 1인 방송 및 1인 콘텐츠기획에 대하여 연구한다.
한국 근대 대중음악 연구 Korean Modern Popular Music Research 대중음악의 역사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대중음악의 연구 및 제작실습을 통하여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는 수업으로 근대 대중음악의 가치를 발굴하고 연구한다.
뷰티학특론 Advanced of Beauty theory 뷰티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미래 전문 뷰티학자로서 자질을 향상 시키고자 한다.
뷰티트렌드분석 Analysis of beautytrends 고대시대부터 현대까지의 시대별 사회적 배경과 뷰티문화의 상관관계를 파악 함으써 뷰티영역이 대중문화에 차지하는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분석한다.
뷰티문화사특론 Advanced of Beauty Cultural History 역사적 관점에서의 미용문화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미래 전문 뷰티학자로서 뷰티문화사를 응용한 뷰티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문화콘텐츠 이해cultural content Research 문화예술을 콘텐츠화하고 이를 산업화 하기위한 진보된 기술과 다양한 경험 이상의 측면을 고려하고 이해 하여 변화하는 문화콘텐츠산업 패러다임과 새로운 트렌드를 고찰한다
만화애니메이션기획 Cartoon and animation Planning 만화애니메이션시장 동향을 조사하고, 실제 출판, 제작이 가능한 기획을 연구하고, 적절한 생산방식을 마련하여 실제 제작으로 이어지게 한다.
애니메이션특강Technology of VFX in films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영상부분은 차세대 첨단산업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3D프로그램 역시 이 부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3차원 모델링, 맵핑, 애니메이션 특수효과표현에 중점을 둔다.
가상증강현실연구 Studying of VR.AR technology 구성하는 다양한 플랫폼과 미디어 환경 아래 기술과 서비스가 융합하는 게임을 실제로 기획하고 제작해보는 실전수업이다.
매체 스토리텔링 분석Storytelling analysis 문화콘텐츠 생산의 근간이 되는 스토텔링의 개발을 위한 선행으로 콘텐츠의 사례분석 방법 기획과정에서 시나리오 분석한다.
디자인기획 및 방법론Design Strategy & Methodology 디자인 제 분야의 디자인 작업 과정을 효율적으로 체계적으로 경제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접근할 수 있는 원칙과 이론, 정책과 전략에 대하여 다면적이고 실증적으로 연구 학습한다.
기획안 작성법 연구 Planning of make study 컨텐츠경영의 이론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기획과정에서 파생되는 여러 요소들의 연구능력을 키우고, 목적을 능률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기획안 관한 여러 가지 활동을 계획, 조직, 충원, 조정, 통제하는개념을 이해시키고 실제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단계에서 디자인 기획력과 분석력 그리고 통합능력을 함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멀티미디어콘텐츠실습Production of Multimedia Contents 문화콘텐츠 제작에 사용해야할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실무 능력을 학습한다.
디자인 가치론Design Axiology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디자인 가치의 본질과 그 근원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인간의 가장 바람직한 삶을 위해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연구한다.
영상 문화 콘텐츠 분석Image culture content analysis 뉴미디어 시대의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상이 만들어 지고 콘텐츠로 활용되는 다양한영상을 분석 체험한다. 새로운 미디어와 산업 현장, 예술과 트랜드 미디어의 상황과 변화과정을 체험하면서 자신의 영역확장을 목표로 한다.
시각인류학 Theory of Visual Media 인류 역사에서 시각물과 시각 환경은 인간 삶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 되었다. 인류는 시각적 산물을 통해 생각하고, 소통하고, 역사를 남겼다. 이 과목은 모든 시각 환경을 분석의 도구와 대상으로 학습함으로써 삶을 이해하고 예술을 이해하며 미래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상미디어론Design Axiology 세계 문화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들이 렌즈를 통해 이미지로 형성되어 미디어의 복제 수단이자 결과인 영상매체를 인쇄, 방송, 인터넷 등과 같은 영상다매체시대에 연결시켜 동시대의 사회상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사진영상인의 역할을 연구하고 윤리적 인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이미지론Digital Imaging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변화에 따른 디지털이미지 환경에 대한 연구와 디지털이미지의 제작부분, 디지털이미지의 활용 및 환경변화가 야기할 발전추이에 관한 탐구를 주제로 진행하는 과목이다. 따라서 본 과목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 환경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지도2 Advanced Seminar of Thesis2 학위논문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서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