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Department of Education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교수학습학, 교육정책 및 리더십학*)

교육학박사
Ph.D. in Education

“*” 표시 세부전공은 외국인 대상 집중이수제 이중언어(통역) 이수과정임

학과목적

교육학과의 교육목적은 21세기 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우수하고 능력있는 교육전문가 및 교육연구자를 양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 학과는 특히 교육과정을 교육행정 전공과 교육공학 전공 유아교육전공에 학과의 역량을 집결하고 전문화하여 미래 한국교육을 선도할 핵심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학과목표

교육행정 전공

  • 교육행정전공의 교육목표는 교육행정가 또는 장차 교육행정가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교육행정조직의 운영 전반과 교육정책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익혀 유능한 교육행정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있다.
  • 이를 위해 본 전공에서는 교육학일반과 교육연구방법론, 교육통계, 논문작성법 등을 포함하는 공통과정을 바탕으로 교육행정조직분야의 연구를 다루는 교육조직관리론, 교육리더십연구, 학교혁신및컨설팅, 교육법규세미나 등을, 교육정책분야의 연구를 다루는 교육문제세미나, 교육제도세미나, 교육개혁세미나 등의 전공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 이를 통해 재학생들은 본 전공에 개설된 교육과정 이수를 통해 교육행정조직 운영의 전반과 교육정책 전반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연구력을 형성하게 될 것이며, 탁월한 자질과 관리능력 및 관리기술을 습득하고, 당면 교육문제에 대한 분석력과 통찰력을 갖추고 교육정책 및 교육개혁을 선도해 나가는 교육행정전문가가 될 것이다.

교육공학 전공

  • 교육공학 전공의 교육목표는 학교의 교사, 기업의 인력개발 담당자 또는 교육산업 종사자로 하여금 교수-학습의 원리, 매체 및 기술의 활용, 학습 및 수행의 개선과 같은 분야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경험하고 이 분야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공학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있다.
  • 이를 위해 본 전공에서는 교육연구법 및 교육학 일반, 논문작성법 등을 포함하는 공통일반 교육과정 외에 교육공학론, 교수학습이론, 미디어와 교육, 교수모형론, 이러닝 설계 및 개발, 이러닝의 이해와 활용, 교육컨설팅, 조직학습론, 수행공학론, 교육평가 및 질 관리 등의 전공과목을 배우게 된다.
  • 이를 통해 재학생들은 본 전공에 개설된 교육과정 이수를 통해 교육학 및 교육공학 전반의 실제와 동향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연구력을 갖게 될 것이며, 교수설계 및 교육매체 관련 전문가로 탁월한 프로젝트 관리 능력과 수행 문제의 해결 및 개선 능력을 가진 능력있는 교사, 교수설계자, 교육연구자가 될 것이다.

학과특성

본 대학원 박사과정의 교육학과는 현직 교원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 및 수행개선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수행에 대한 그들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개설된 학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교육행정 및 정책, 교수-학습 및 교육공학, 그리고 유아교육 분야의 교과목은 물론 교육학 분야의 기초공통 분야의 모든 교과목을 심도있게 공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일부 과목에 대해서는 원격화상강의 및 웹기반수업 형태의 수업을 병행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학업의 기회를 미루고 있는 예비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 현직교원 및 교육기관 종사자들에게 폭넓은 장학혜택이 있다.

발전방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는 풍부한 교육 이론과 실무 능력을 갖춘 교육행정 및 정책, 교육공학, 유아교육분야의 고급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유·초·중등 교사 및 교육행정가, 대학교직원, 각종 사회교육 및 기업체 교육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문성 함양과 자질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운영된다.

  • 교육학 분야 이론과 실제를 두루 익힌 유능한 교육행정 및 교수학습 전문가 양성
  • 다양한 유형의 교육조직에 대한 이론 및 현장 연구를 수행능력 배양
  • 다양한 맥락의 교수-학습 관련 문제에 대한 분석 및 해결능력 배양
  • 학교현장의 교수-학습 개선 방안과 조직운영의 연계방안 탐색
  • 학교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현상에 대한 연구능력 배양
  • 교육 관련 프로젝트 수행능력 배양

교수소개

교수소개의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
엄준용 교육행정 교육학박사 031-8075-1732
박균열 교육행정 교육학박사 031-8075-1693
최경애 교육공학 교육학박사 031-8075-1778
권성연 교육공학 교육공학박사 031-8075-1726
최태진 교육심리 및 상담심리 교육학박사 041-750-6253
정명선 재활심리 및 상담심리 이학박사 031-8075-1794
백유미 교육심리 및 상담심리 교육학박사 031-8075-1670
권정언 인적자원개발 인적자원개발정책학박사 031-8075-1657
김주석 평생교육 교육학박사 041-750-6928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전공 교육연구방법론 3 3
교육통계 3 3
논문작성법1,2 3 3
논문지도1,2 3 3
교육행정세미나 3 3
학교학급경영론 3 3
교육제도세미나 3 3
교육리더십연구 3 3
교육법규세미나 3 3
교육조직관리론 3 3
교육인사행정연구 3 3
교육정책세미나 3 3
교육자치세미나 3 3
교육정책사례연구 3 3
미래사회와 교육 3 3
교육정책분석연구 3 3
교육변화연구 3 3
생활지도와 학교폭력연구 3 3
교육재정세미나 3 3
교육평가론 3 3
학습자중심교육 3 3
교육공학론 3 3
교수학습이론 3 3
미디어와 교육 3 3
학습자특성 연구 3 3
교수설계이론 3 3
교수모형론 3 3
교육공학세미나 3 3
수업컨설팅 3 3
체제적 교수설계 3 3
인공지능과 디지털 교육혁신 3 3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 1 1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2 1 1

교과목 해설서

공통과목

교육연구방법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교육연구 수행을 위한 일반적인 연구방법론을 다룬다. 연구주제와 연구문제를 탐색하는 절차에서부터 문헌고찰과 연구게획수립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수행 과정까지의 절차, 그리고, 최종적으로 교육연구 수행 결과물을 학회 혹은 학위논문으로 출판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연구 수행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연구 행위에 대한 통찰과 안목을 기른다.
교육통계 Educational Statistics 교육연구 수행을 위해 수딥된 조사 및 실험 데이터 등을 연구문제와 가설 및 자료의 성질에 따라 통계적으로 분석해 내는 방법을 익힌다. 자료의 수집 및 스크리닝과 코딩, 자료파일 작성, 자료변환 그리고 구체적인 통게분석방법의 수행과 결과해석 방법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실습을 통하여 강좌를 진행한다.
논문작성법1,2 Methods in Thesis Writing 학위논문작성에 요구되는 제반 사항과 학위논문의 전반적 틀에 대해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논문주제의 설정, 자료 조사 및 정리, 목차의 구성, 논리전개 방식, 편집양식,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 결과보고 등에 관한 일반적인 지침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논문지도1,2 Introduction to Thesis Writing 학위논문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학위논문의 과제를 부여하고,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전문적 지식, 연구방법 및 학술논문 작성에 관한 사항을 지도한다.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2 Introduction to Thesis Writing 연구 윤리(Research ethics)란 윤리학에서 다루는 근본적인 윤리 원칙들을 과학적 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쟁점들에 적용하는 것이다. 연구 윤리에서는 인간과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의 설계와 이행, 연구 부정행위(위조, 자료의 날조, 복제), 내부고발, 그리고 연구 규제 등을 다룬다.

교육행정전공

교육행정세미나 Seminar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교육행정에 대한 이론을 탐구하고 교육행정의 운영 실제 현상을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학교학급경영론Seminar in School and Class Management 학교 및 학급경영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법들을 습득한다. Case Study로써 학교장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학교경영의 과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교육제도세미나 Seminar on Educational System 교육제도론을 바탕으로 하여 학교교육제도, 학생선발제도, 교원인사제도, 교육행정제도 등 교육제도 전반의 이슈와 쟁점 그리고 그 대안을 탐구한다.
교육리더십연구 Study on Educational Leadership 교육분야의 리더십에 관련된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탐색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리더십을 갖추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도자의 덕목과 자질 개발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떻게 구현해야 할 것인가를 리더십 이론 및 관련 문헌,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교육법규세미나 Seminar on Educational Laws 본 교과목은 교사들이 꼭 알아야 할 교육법규의 이론과 실제를 익혀 교육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事故)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조직관리론 Study of Organizational Theory in Education 교육조직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조직 및 경영 이론들을 탐구하여, 교육조직을 이해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함양하고, 나아가 새로운 관점과 접근으로 새로운 모델과 이론을 창의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한다.
교육인사행정연구 Study of Personnel Administration in Education 교육 분야 인적자원을 효율적․체계적으로 관리를 탐구할 수 있는 이론을 탐구하고, 교원행정과 교원정책의 개념과 기능 그리고 그 과정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교육정책세미나 Seminar on Educational Policy 교육정책의 개념, 유형, 과정, 참여자 등 교육정책 전반을 개념적·이론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교육정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평가할 수 있는 이론 및 방법론을 탐색한다.
교육정책사례연구Case Study on Education Policy 정책학, 교육정책학의 기본 이론에 근거한 주요 교육정책연구 사례를 학습함으로써 주요 국가 교육정책에 대한 다양한 사례연구와 비교연구를 할 수 있는 교육정책 연구역량을 신장한다.
미래사회와 교육 Education in Future 미래 사회 변화 속에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 미래 교육지도자들에게 요구되는 바람직한 역할을 탐색한다.
교육정책분석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Education Policy 교육정책의 성격, 분류, 결정 과정, 참여, 평가, 그리고 분석 기법 등 교육정책의 체계적인 분석을 탐구하고, 실제 교육정책 분석 사례를 바탕으로 실제에 적용하는 역량을 신장한다.
교육변화연구 Stduy on Educational Change 한국의 교육문제, 학교문제를 분석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올바른 교육 변화 방안을 모색한다. 올바른 교육 변화, 교육발전 방안으로서 종합적인 교육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문제 분석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비판적 사고 역량을 신장한다.
생활지도와 학교폭력연구 Case Study on Guidance and School Violence 생활지도와 학교폭력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실천 전략으로서 생활지도 지식과 기법들을 습득한다. 또한 학교폭력의 유형과 사례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생활지도 방안을 모색한다.
교육재정세미나 (Seminar on Educational Finance 교육재정의 본질과 재정운영 원리를 이해하고 교육재정제도의 발달, 교육예산 편성기법, 집행, 결산 그리고 재정제도의 새로운 동향과 관리방법 등을 탐구한다.

교육공학전공

교육평가론 Theory of Evaluation in Education 평가와 입시가 교육 활동의 본질적인 가치와 활동을 왜곡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교육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돕는 교육평가 본연의 가치와 기능, 이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교육평가 이론과 방법론을 탐색한다.
학습자중심교육 Student Oriented education 정보전달 및 학습수단의 다양화로 교실수업에서 학습자가 주도하는 수업 혹은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 교과목은 전통적 면대면교육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 및 교수법(협동학습, 토론학습, 거꾸로학습, 프로젝트학습 등) 그리고 교육활동을 탐구한다.
교육공학론 Introduction to Educational Technology 교육공학의 개념과 영역, 역사적 발달과정, 이론을 고찰하고 주요 교육공학 분야별 이론과 실천을 분석, 연구한다.
교수학습이론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효과적인 수업(교수-학습) 설께의 기반이 되는 학습의 심리학적 원리와 과정, 교수이론 등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도모한다.
미디어와 교육 Media and Educational 미디어는 단순한 정보전달의 중개자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사회를 이해하고 소통하며, 자신을 표현하는 장이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의 중요성에 근간하여 미디어를 이해하고,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미디어에 담긴 내용을 분석, 비판, 평가하는 능력을 키운다. 특히 미디어와 교육, 사회와의 관계, 미디어를 통한 소통의 과정으로서 교육과 사회현상을 탐구한다.
학습자특성연구 Study on Students Characteristics 학습자의 일반적, 심리적, 행동적 특성은 분석·연구하여 효과적인 교수방법 및 전략, 매체 선정의 기반을 마련한다. 특히 학습자의 사전지식, 인지양식, 학습양식, 발달, 지능, 적성, 정서, 동기 등 개인차에 대한 탐구를 통해 가장 적절한 교수환경 설계를 구안한다.
교수설계이론 Instructional Design Thoery 체게적이고 체제적인 관점에서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최적의 교수(수업)를 설계, 개발하는데 지침이 되는 다양한 이론을 학습한다. 교수설계이론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탐색하기 위하여 거시적-미시적수준, 학습목표와 과제 유형, 일반적-구체적 차원 등을 포괄한다.
교수모형론 Models of Teaching 과학적 이론과 연구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교수의 실행을 위한 수업의 특징적인 사태(event)를 단순화시킨 '교수모형'을 학습하고 이를 적용한다. 이러한 모형에 대한 학습을 통해 교수과정의 중요변인간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으며 수업의 절차, 학습의 조건, 수업의 형태에 따라 수업현상을 이해한다.
교육공학세미나 Seminar on Educational Technologh 교육공학의 다양한 연구 분야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성찰을 통해 연구자로성의 지식, 기술, 태도를 배양하고, 관심 분양에 대한 집중적인 탐구를 통해 독창적이고 주도적인 교육공학 연구 수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수업컨설팅 Instruction Consulting 학교 수업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절차, 전략을 구현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특시 실제 학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레를 중심으로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원인을 규명하며 최적의 해결전략을 제안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체제적 교수설계 System Approaches to Instructional Design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이 높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요구되는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 과정을 보다 과학적이고 체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와 방법론을 다룬다.
인공지능과 디지털교육혁신 Artificial intelligence & Digital innovation in education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디지털기술혁명은 교육현장, 교수학습환경의 변화를 가속화시켰다.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학습분석, 머신러닝 등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와 이를 교육에 접목하여 교육 혁신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고 미래사회의 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